본문 바로가기
알짜정보

모세와 이집트 왕가: 성경 속 이야기와 역사적 배경

by 일기의하루 2023. 5. 19.

1. 이집트 왕가와 모세의 시대

 

 

이집트의 역사는 약 5,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기 동안 이집트는 광활하고 부유한 지역으로, 건축, 농업 및 기술 발전 분야에서도 굉장한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집트의 왕가는 제2왕조, 제18왕조 등 다양한 왕조들로 이뤄졌습니다.

 

모세의 이야기는 성경의 출애굽기에 등장합니다. 이때 출애굽기 1:8은 “그리고 이 영왕부에서 새 왕이 일어났으니, 요셉을 알지 못하는 자라”라고 말합니다. 이는 제2왕조의 요셉 왕의 죽음 이후, 새로운 왕이 이집트를 다스려오면서 그들의 지위가 악화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새로운 왕은 이스라엘이 많게 번성하고 있다는 이유로,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후 이스라엘 백성을 괴롭히는 일이 계속되자, 하나님이 모세를 통해 백성을 구원하도록 명령하게 됩니다.

 

모세가 이집트 왕가와 마주한 시대는 제18왕조 시기였습니다. 이때 제18왕조는 광활한 황야를 정복하고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축적과 공사를 할 필요성이 있었고, 이를 위해 왕족진영과 사관들이 노동자를 구비해 수많은 노예들을 고용하였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모세의 이야기는 이집트의 권력 구조와 노예제도의 생생한 모습과 함께 전해집니다. 이러한 이야기는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의 유대관계와 함께 중요한 역사적 사실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2. 모세가 태어난 이야기

 

 

 

성경에 따르면, 모세는 이스라엘의 12 지파 중 하나인 레위족 속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그의 출생이 이집트 왕 가문에 대한 파멸의 시작이 되었다.

 

모세가 태어난 시점에서 이집트는 이스라엘 노예들을 강제로 일 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 왕국이 존재하는 것 자체가 역사적으로 증명되지 않았으며, 성경에 등장하는 왕 이름 중 어느 것이 실제로 이집트의 왕 이름인지도 논란이 있다.

 

모세가 태어났을 때, 이집트 왕은 모든 처음 난 아이들을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다. 어떤 이야기에 따르면, 모세의 어머니는 그를 급히 감추어 어린 시절을 지낼 수 있도록 했다. 그 후, 그녀는 모세를 바구니에 담아 강물에 띄우고 떠나게 된다.

 

이후, 바구니는 이집트 왕가의 딸의 손에 들어가게 된다. 딸은 그 안에 있는 아기를 발견하고 그 아이를 챙겨서 기르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그녀는 아이를 "모세"라고 이름 지어준다.

 

이러한 이야기는 일부 인종주의자들에게는 이집트 문화가 흑인들이 의도적으로 차별되어 있고, 그들이 노예로 강제 노동을 하게 된 것은 비인간적인 이집트인들의 방식 때문이라는 믿음을 강화시키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추측은 역사적 증거를 바탕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3. 모세의 유모와 부친의 계획

 

 

 

모세가 태어난 이후, 그의 어머니는 그를 숨길 방법을 찾아야 했다. 왜냐하면, 그 때 이집트의 왕 바로가 이슬람교를 따르는 히브리족을 학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모세의 어머니는 모세를 바다에 띄워놓아 바람에 의해 이슬람교 신하가 있는 나일강 쪽으로 떠올리게 했다.

 

그후, 엔딩군이라는 이슬람교 신하는 모세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엔딩군은 한 순간에 그를 죽이지 못했다. 대신, 그는 모세를 떼어내 그를 자신의 집안에서 자라게 했다. 그러나, 그가 조금 더 자랄 때, 그의 유모는 그를 이집트의 왕궁까지 데려가 바로의 딸의 유모가 되게 했다.

 

모세가 이집트에서 살게 된 것은 그의 어머니와 유모의 지혜로 인해였다. 그러나, 그는 항상 그의 출생의 비밀을 감추기 위해 조심해야 했다. 이는 후에 그의 향후 사명을 완수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모세의 난민 생활

 

 

 

모세는 이집트에서 벌어지고 있는 히브리인의 학대와 압박을 목격하고 이를 막으려 하다가 자신의 죄를 범하게 되어 이집트를 떠나게 된다. 이후 모세는 40년간의 난민 생활을 하게 된다.

 

모세가 떠난 이집트는 샤슈꾸(현재 시리아쪽)와의 교전을 벌였고, 그 결과 지역을 장악하게 된다. 그 뒤로는 나고닥, 제부스, 데르스, 페디아와 싸우면서 뒤쫓긴 채로 푸른 바다에 달려들어 분노한 하느님의 신능이 작용하여 물이 갑자기 갈라져 모세와 그의 백성이 건너갈 수 있게 해주는 일이 벌어진다.

 

이후 모세와 그의 백성들은 에돔 국경에 이르러서야 끝없는 사막을 건너 히스말라야 산지대 산맥으로 이동하면서 40년간의 난민 생활을 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하니그랏과 이집트의 하나님 대결

 

 

 

이집트의 신들과 하나님의 대결은 하니그랏(Hanigret) 사건에서도 이어졌다. 하니그랏이란, 선조의 유골을 덮는 깊숙한 곳으로, 이집트인들이 깊은 경외심을 가지고 여겨왔다. 그러나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하니그랏도 함께 영혼이 없는 허깨비로 비워버린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이집트의 신들보다 더 위대하며, 그들보다 더 권위 있는 존재임을 밝혔다.

 

하지만 이집트에는 여러 신들이 존재했으므로, 이들 신들이 하나님보다 더 위대하다고 믿는 이집트인들에겐 이 일이 큰 충격이었다. 이에대해 개인차가 있겠지만, 이 이야기는 하나님의 힘과 권위를 더욱 키워주는 역할을 한 것은 확실하다. 이후로 이집트는 여러 재앙과 신적인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6. 이스라엘 백성의 해방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어 탈출한 후, 약간의 시간이 지나면서 이집트 왕가는 다시 이스라엘 백성을 노예로 만들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그들은 모세의 지도 하에 더 이상 노예로 살지 않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그들은 황해를 건너 숙청에서 벗어나 자유를 찾게 되었다.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자유를 찾았지만,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새로운 문제들도 있었다. 예를 들어, 모든 새로운 환경과 식량 문제는 이집트 때보다 더 복잡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코호린 이동(숙청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진로 탐색할 때 사용한 방법)과 같은 수단을 사용해야 했다.

 

또한, 그들은 이제 새로운 문화와 사회에 적응해야 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관습, 수도원교 등의 문화적 요소들이 이스라엘 백성과 같이 살아가야하는 다른 부족들에 의해 받아들여지거나 배제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전쟁이나 다른 위협에서 스스로 방어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 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도, 이스라엘 백성은 끊임없이 하나님의 도움을 찾았다. 예를 들어, 성스럽고 광활한 광야에 떨어져 진로를 찾을 때, 하나님은 구름의 형태로 그들 앞을 인도해주고, 밤에는 불광이 살아나서 그들을 안내해주었다.

 

이러한 이스라엘 백성의 힘든 여정에서도, 하나님은 그들을 가까이 하여 이들의 인내를 지켜봤다. 그리고 이들은 다시 마음을 잡아 새로운 문화와 사회에 적응하고, 이들의 믿음을 다시금 구체화하여 하나님과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7.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모세 이야기의 의미

 

 

모세 이야기는 성경에서 중요한 이야기 중 하나로 꼽힙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가 역사적으로 어떤 배경을 갖고 있었는지는 아직 결론이 내려진 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이야기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는 역사적 배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모세 이야기에서 말하는 이집트 왕가의 존재와 광대한 지배영토, 히브리족의 노예 생활과 탈출, 붉은 해 등의 요소는 역사적 사실로 입증되어 있습니다. 특히, 이집트의 신문서와 아메나헤프의 기록에는 외국 종족들을 노예로 이용하는 것이 일상적이었고, 혁명과 함께 노예들이 이탈하는 일도 종종 일어났다는 것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집트 왕가의 퇴보와 신들의 권위가 약화됨에 따라 모세를 비롯한 히브리족들의 종교적 관심이 높아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집트의 모든 종족들이 그랬듯이 히브리족들 역시 자신들의 신 앞에서 구속되어야 한다고 믿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모세 이야기는 히브리족들이 이집트에서의 노역에 대한 항거와 도전의 이야기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들의 불안과 고난 속에서도 하나님과의 신앙 생활을 유지하며, 유일한 구원자로서의 모세를 통해 자신들의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히브리족들이 자신들의 신앙, 문화,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댓글